국악의 분류
국악은 민족의 정통성과 고유성을 지닌 민족의 음악을 의미합니다. 국악이란 이름을 처음 사용한 것은 조선시대 말 고종 때 장악원에서부터였습니다. 우리의 음악인 국악은 시대에 따라 분류를 다르게 할 수 있는데, 아악, 당악, 향악, 속악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고려 시대에는 향악 대신에 속악이라는 말을 사용했고, 조선 시대에는 아악과 속악으로 나뉘며, 속악은 당악과 향악을 동시에 지칭하기도 했습니다.
역사적 관점에 따른 분류
1) 아악(雅樂)
아악은 원래 중국 송나라의 정악을 말하는 것인데, 송나라의 궁중에서 사용된 제례악을 의미합니다. 고려 예종 11년(1116년)에 우리나라에 수입된 대성아악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 아악이 수입된 이후에 환구, 사직, 태묘, 선농, 선잠, 문묘 등의 제례와 그 밖의 잔치에 쓰였습니다.
고려 말에 무신정변과 몽골의 침략으로 국가적 혼란이 일어나면서 부족한 악기가 많아지고, 조율도 맞지 않고, 절차와 음악의 제도가 무너지면서 본래의 격식을 차리기가 어려워졌습니다. 조선 시대 세종대왕은 박연을 중심으로 중국의 옛 문헌을 참고하여 중국 주나라의 아악에 가깝도록 음악을 정비하였습니다. 세종 때에 궁중의 행사와 각종 잔치에 아악을 사용하며 아악의 새로운 부흥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남게 된 아악은 공자의 제사 때 연주하는 '문묘제례악' 하나뿐입니다.
2) 당악(唐樂)
당악이란 당나라의 음악뿐만 아니라 송나라에서 들어온 중국의 송악까지 이르는 말입니다. 즉, 수용된 시기와 관계없이 아악을 제외하고, 중국의 속악을 통틀어 일컫는 말입니다. <대악전보(大樂前譜)>나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보이는 당악곡들은 대개 송나라의 사악(詞樂)들입니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의 고문헌에 기록된 당악곡은 그 종류가 아주 많지만, 현재까지 남아 있는 당악곡은 '보허자'와 '낙양춘' 2개의 곡뿐입니다.
당악이라면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것이지만, 수입된 그대로 보존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식으로 고치며 한국화 되었는데, 즉 향악화 된 곡조로 남게 되었습니다.
3) 향악(鄕樂)
향악은 당악이란 말에 대비되는 용어로, 한국 음악이란 말을 의미합니다. 즉 우리나라에 있던 순수 재래 음악을 의미하며, 또한 중국의 음악 이외에 서역 지방에서 들어온 음악과 불교 계통의 음악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그러나, 판소리, 민요, 잡가, 농악 등 일반 서민들이 즐기던 민속악을 포함하지는 않습니다. 당악이 수용되기 이전부터 우리나라에 있었던 모든 음악과 고려 시대의 가요, 조선 초기에 새롭게 만든 음악 등을 일컫는 말입니다.
향유 계층에 따른 분류
1) 정악(正樂)
주로 궁중이나 양반 계층에 의해 연주되었던 곡으로 아악, 당악, 향악을 모두 포함하는 음악입니다. 그리고 궁중의 각종 의식이나 행사, 지식인층인 선비들이 풍류방에서 즐기던 음악이 정악에 속합니다.
2) 민속악
정악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일반 서민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연주되고 즐겼던 음악입니다. 직업적인 음악가에 의해 전성된 예술 음악이 포함되며, 민중의 애환과 정서가 그대로 깃든 생활 속에서 향유된 모든 음악이 포함됩니다.
현대적 관점에 따른 분류
1) 의식 음악
절차가 있는 의식에 따라 사용되는 음악이며 변하지 않고 고정적인 것으로, 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 사직제례악, 범패, 무악 등이 이에 속합니다.
2) 정악
조선 시대 궁중과 풍류방을 중심으로 연주된 곡으로 주로 지식 계층이 즐기던 대체로 점잖고 느린 음악을 의미합니다. 정악에는 영산회상, 여민락, 보허자, 낙양춘, 취타, 가곡, 가사, 시조 등이 있습니다.
3) 민속악
민속악은 조선 후기에 발생한 일반 서민의 음악으로, 민중들의 생활상과 애환이 잘 담겨 역동적이고 풍부한 감정표현이 음악에 담겨있습니다. 민속악에는 판소리, 산조, 잡가, 민요, 농악 등이 있습니다.
4) 창작국악
서양음악이 우리나라에 유입된 이후에 국악적인 어법으로 작곡가가 새롭게 만든 음악입니다.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는 전통음악과는 다르게 작곡가가 분명하며 현대적인 다양한 시도가 포함된 음악을 의미합니다.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악의 의식음악 - 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 사직제례악, 경모궁제례악, 범패 (0) | 2023.05.06 |
---|---|
국악의 멋과 정신 - 중용, 예악, 음양오행 사상과 선비정신, 한의 정서 (0) | 2023.05.06 |
르네상스 시대의 악기들 (0) | 2023.05.05 |
종교개혁 시대의 교회 음악 (0) | 2023.05.04 |
르네상스 음악 배경 (0) | 2023.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