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식음악2

국악의 의식음악 - 종묘제례악, 문묘제례악, 사직제례악, 경모궁제례악, 범패 종묘제례악 조선시대 역대 임금과 왕비의 신위(神位)를 모신 종묘에서 제사를 지낼 때 쓰이는 음악과 춤을 의미합니다. 종묘제례악은 매년 5월 첫째 주 일요일에 종묘에서 거행되며 중요 무형문화재 제1호입니다. 또한 2001년에 유네스코 세계 무형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음악, 노래, 춤이 조화를 이루는 장엄하고 웅장한 음악이며, 학식이나 지식, 즉 문덕(文德)을 칭송하는 '보태평(保太平)'과 무술이나 전쟁 기술, 즉 무공(武功)을 칭송하는 정대업이 있습니다. 그리고 보태평과 같은 음계에 고(故)와 응(應)의 두 음을 첨가하여 7음으로 되어 있는 진찬(進饌)이라는 곡이 있습니다. 보태평은 총 11곡으로 '희문', '기명', '귀인', '형가', '집녕', '융화', '현미', '용광 정명', '중광', .. 2023. 5. 6.
국악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국악의 분류 국악은 민족의 정통성과 고유성을 지닌 민족의 음악을 의미합니다. 국악이란 이름을 처음 사용한 것은 조선시대 말 고종 때 장악원에서부터였습니다. 우리의 음악인 국악은 시대에 따라 분류를 다르게 할 수 있는데, 아악, 당악, 향악, 속악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고려 시대에는 향악 대신에 속악이라는 말을 사용했고, 조선 시대에는 아악과 속악으로 나뉘며, 속악은 당악과 향악을 동시에 지칭하기도 했습니다. 역사적 관점에 따른 분류 1) 아악(雅樂) 아악은 원래 중국 송나라의 정악을 말하는 것인데, 송나라의 궁중에서 사용된 제례악을 의미합니다. 고려 예종 11년(1116년)에 우리나라에 수입된 대성아악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 아악이 수입된 이후에 환구, 사직, 태묘, 선농, 선잠, 문묘 등의 제례와 그.. 2023.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