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악2

용비어천가 가사를 사용했던 여민락에 대하여 - 여민락, 여민락만, 여민락령, 해령(解令) 여민락(與民樂) 여민락은 세종대왕이 '백성과 더불어 즐긴다'는 뜻에서 지은 이름으로, 그 당시 지어진 '용비어천가'의 가사 위에 곡을 얹은 음악이었습니다. 즉, 용비어천가 1장, 2장 3장, 4장, 125장의 가사에 곡을 붙인 성악곡이었으나 현재는 기악곡으로만 남아 있습니다. 또한, 여민락은 향피리 중심의 관현악곡인 ;'여민락', 당피리 중심의 관악 합주로 연주하는 '여민락 만', 여민락만을 변주한 '여민락령', 여민락령의 ;가락을 풀어서 변주한 '해령(解令)'등 4개의 음악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1) 여민락(與民樂) 현악기 위주로 연주할 때는 '오운개서조', 관악기 위주로 연주할 때는 '승평만세지곡'이라 구분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주로 관현악 합주로 연주하며 '승평만세지곡(昇平萬歲之曲)'이라는 통일된.. 2023. 5. 23.
국악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국악의 분류 국악은 민족의 정통성과 고유성을 지닌 민족의 음악을 의미합니다. 국악이란 이름을 처음 사용한 것은 조선시대 말 고종 때 장악원에서부터였습니다. 우리의 음악인 국악은 시대에 따라 분류를 다르게 할 수 있는데, 아악, 당악, 향악, 속악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고려 시대에는 향악 대신에 속악이라는 말을 사용했고, 조선 시대에는 아악과 속악으로 나뉘며, 속악은 당악과 향악을 동시에 지칭하기도 했습니다. 역사적 관점에 따른 분류 1) 아악(雅樂) 아악은 원래 중국 송나라의 정악을 말하는 것인데, 송나라의 궁중에서 사용된 제례악을 의미합니다. 고려 예종 11년(1116년)에 우리나라에 수입된 대성아악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 아악이 수입된 이후에 환구, 사직, 태묘, 선농, 선잠, 문묘 등의 제례와 그.. 2023. 5. 5.